지난 7월 베트남으로 여름 휴가를 간 A 씨는 항공기에 올랐다가 깜짝 놀랐습니다. <br /> <br />대형 항공사에서 34만 원을 내고 표를 샀는데, 23만 원이면 구입할 수 있는 저비용 항공사 비행기를 타게 된 겁니다. <br /> <br />2개 항공사가 제휴를 맺고 항공기 1대를 함께 띄우는 '공동운항' 비행기였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A 씨 / 공동운항 이용 소비자 : 서비스의 질도 떨어지고 기내식도 안 나오고 이런 걸로 봤을 때 제가 지불한 가격에 비해서 서비스를 못 받는다는 생각이 들면 아무래도 속상한 감정이….] <br /> <br />다양한 노선과 시간대를 확보하면서 개별 운항에 따른 비용은 줄이기 위한 공동운항 제도. <br /> <br />국내 대형 항공사들과 자회사인 저비용 항공사들도 많이 운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보니, 같은 비행기를 타더라도 어느 항공사에서 표를 샀느냐에 따라 가격은 크게 달라집니다. <br /> <br />10월 26일 필리핀 클락에서 출발해 인천으로 들어오는 공동운항 노선입니다. <br /> <br />같은 비행기 같은 좌석이지만, 판매하는 항공사에 따라 60만 원과 20만 원으로 세 배나 차이가 납니다, <br /> <br />더 나은 서비스를 기대하고 대형 항공사 표를 비싸게 샀다가 상대적으로 편의가 적은 저비용 항공사 비행기를 탈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공동운항의 개념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서, 피해로 이어지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비행기 표를 살 때 안내 팝업 창이 뜨긴 해도, 작은 글씨로 촘촘하게 쓰여있어서 주의 깊게 읽지 않으면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동훈 / 서울 강서구 : (공동운항에 대해 들어본 적 있나요?) 저는 없습니다. 굳이 돈을 더 내고 이용하진 않을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공동운항편에 대한 소비자 이해를 높이고, 비용도 실제 운항하는 비행기에 맞춰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[맹성규 / 더불어민주당 의원 : 판매사에 대해 공동운항편이라는 고지를 강화하고 항공사의 요금 체계를 합리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….] <br /> <br />그러나 항공사들은 공동운항에 대한 정보를 이미 충분히 안내하고 있다며, 문제 될 게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[A 항공사 관계자 : 항공권 가격이 항공사별로 판매를 하는 게 다른 건 어찌 됐든 수요 공급 논리에 의해서 이뤄지는 거고….] <br /> <br />[B 항공사 관계자 : 공동운항편 승객에게는 대형 항공사의 마일리지 적립, 무료 수하물, 기내식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며….] <br /> <br />코로나19 대유행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101510263073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